반응형 개발12 GitMCP: GitHub 프로젝트를 AI 도구와 연결하는 무료 오픈소스 서버 GitMCP는 "Model Context Protocol (MCP)"을 구현한 무료 오픈소스 원격 서버입니다.이 도구는 GitHub 프로젝트를 AI 도구가 실시간으로 참고할 수 있는 문서 허브로 변환해줍니다.이를 통해 AI가 프로젝트의 코드를 더 정확히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주요 기능1. 최신 문서 접근 GitHub 프로젝트의 최신 문서와 코드를 AI가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2. 스마트 검색 필요한 문서를 정확히 찾아 AI가 사용하는 토큰 수를 최소화합니다.3. 설치 필요 없음 클라우드에서 작동하며, IDE 설정에서 GitMCP URL만 추가하면 됩니다.4. 무료 및 프라이버시 보호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개인 정보를 수집하지 않습니다. 필요하면 자가 호스팅도 가능합니.. 2025. 4. 22. vim을 잠시 멀리하자 vim은 서버개발을 많이 하는 나에게는 장점이 더 많았다.그리고 vim을 사용하면서 얻을 수 있는 일종의 재미랄까? 그런것도 있었다.그리고 어디에서든 코딩을 할 수 있도록 ipad를 이용해서 세팅했을때도 그 중심에는 vim이 있었다.최근 수년동안 밥벌어먹는 작업 포함 거의 모든 개발을 vim을 사용해서 진행했었다.어제까지는 말이다. 이번에 세콰이어 업데이트를 하고나니 잘 쓰던 vim 세팅에 문제가 생겼다.세팅을 너무 많이 해두었나 하는 생각도 들었고,분명 시간을 어느정도 들이면 해결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이걸 해결하려고 시간을 쏟는게 맞나? 라는 생각이 든다.세팅에 문제가 생길때마다 이 생각이 들긴 했지만 이번에는 조금 크게 다가왔다. 뭔가를 하려는데 도구가 망가져서 하려는걸 미뤄둔 채 도구를 고치고.. 2024. 9. 26. 보통 회사에서의 개발에 대하여 #1 대부분의 회사는 평범한 개발로 이미 충분하다.어떤 엄청난 것들이 동반되어야 서비스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딱 서비스하는데 필요한 만큼만 개발이 되고 그걸 운영하고 추가 빌드업정도 가능한 정도의 개발력이면 충분하다.인프라도 초기에는 가볍게 가도 좋다. 인원도 적을테니 트렌디하지만 복잡한 무언가보다 최대한 단순한 인프라로 운영 시간을 최소화하는것이 좋다. 이거 할 시간이 없을 규모일테니.이걸 적절히 판단하지 못하면 과하게 개발조직을 키우거나 너무 안키워서 속도가 안나거나 한다.이게 불가능해졌다면 사업이 성공하고 있는 확률이 높다.초급 개발력으로 불가능해진 상황중 가장 큰 상황은 트래픽이 몰려올 때이다.이때 1개에서 N개를 위한 재구성이 필요해진다. 다음 시간에 계속.. 2024. 7. 1. opt cmd H 효과. 집중. 혼란한 시간들이 2달 넘게 계속되고 있다. 오늘 저녁 잠시 쉬면서 문득 opt cmd H를 눌렀다. 갑자기 모든것이 사라지고 쉬면서 감상하려던 음악 앱만이 3개의 모니터중 한곳에 덩그러니 남아있었다. 끝나지 않는다고 느꼈던건 다 내가 자초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띄워놨던 모든 창들이 닫혔을 때 이런 생각이 머릿속에서 피어났다. 내가 끝나지 않는다고 힘들어했던 것들이 결국 내가 끝내면 끝낼 수 있었다는 것을. 내가 끝내지 않고 그냥 두었다는 것을. 맺고 끊어짐또한 내 의지라는 것을. 단지 내가 하려고 하지 않았을 뿐이었다. 이런 간단한것을 왜 몰랐을까? 사실 알면서도 몰랐던 것들이 아닐까? 발현되면 알지만 그렇지 않으면 모르는 것들이 세상에는 참 많다. 어떤 상황이나 이벤트가 트리거가 되어 발현될지는 알 .. 2023. 12. 6. [sveltekit] markdown 파일로 페이지 만들기 우선 mdsvex를 설치한다. npm i -D mdsvex svelte.config.js 를 수정한다. import { mdsvex } from 'mdsvex' const config = { extensions: ['.svelte', '.md'], preprocess: [ mdsvex({ extensions: ['.md'] }) ] } 그리고 +page.svelte 파일을 추가하듯이 만들면 된다. src/routes/내에 원하는 route 경로에 맞게 디렉토리를 만들고 +page.md를 추가한다. 2023. 1. 13. 프로젝트 생성하기 프로젝트를 생성해본다. npm create svelte@latest projectName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할 것인지, 린트, 프리티어를 추가할 것인지 playwrite, vitest를 테스팅 툴로 사용할 것인지를 중간에 물어본다. 필요한것들을 y/n으로 결정한다. projectName으로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해당 디렉토리에 들어가서 npm i 를 한다. 만약 node.js 버전이 16.14보다 낮다면 패키지 설치가 되지 않는다. 실행을 해보자 npm run dev 기본 포트는 5173이다. 실행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2022. 12. 21. sveltekit 1.0 드디어 릴리즈. 웹을 만들 수 있는 꽤 많은 언어,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들이 소개되고 사용되고 있다. 서비스 레벨로 복잡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웹사이트의 기능들은 생각보다 꽤 간단하다. 그 간단한 것들을 만들때 꽤 편하고 쉽고 간단한 도구들을 항상 찾게 되었었다. 그러던 당시에 눈에 들어왔던건 svelte였다. 역시 웹을 구성하다보면 SSR과 SEO를 포기할 수 없었고 결국 sveltekit으로 갈 수 밖에 없었다. 틈틈히 취미로 하나씩 익혀가던 중 대대적으로 사용법이 변한다는 소식이 들려왔고 그래서 일단 다시 묻어 두었었다. 잠시 잊고 있었다가 최근에 1.0이 정식 릴리즈되었다는 소식을 들었고 다시 이걸로 무언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하나씩 해보기로 하자. https://svel.. 2022. 12. 20. Notion AI를 보고 나서.. 굉장하다. 꽤 많은 분야에서 이걸 이용하게 될 것 같다. 역시 노션이 기존 요금을 풀고 공짜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유저를 끌어모은 것에는 다 이유가 있었다. Paragraph Block도 잘 세분화되어있던것도 학습에 한몫 했을듯 싶다. 글을 대신 써준다는건 프로그래밍 코드도 대신 짜줄 수 있다는 말이 된다. 글과 코드 모두 개념을 형상화한것이기 때문에.. 개발분야에서는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다.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어줘 라고 했을 때 그 프로그램이 나온다면 얼마나 좋을까? 웬만한 개발자들은 모두 다른 직업으로 전환해야 할수도 있지 않을까? 하지만 그렇진 않은것 같다. 하나의 서비스 혹은 프로그램은 수많은 로직들이 결합된 집합체다.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만든다는건 만드는 사람의 어떤 특별한 니즈를 반영하.. 2022. 12. 8. 무언가를 시작하는 방법 (30, 15 규칙) 무언가를 시작하는건 늘 어려운것 같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넘쳐나지만 소수의 사람들만 그걸로 뭔가를 이루어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바로 시작하지 못해서 인것 같다. 시작이 반이다. 라는 말이 정말 맞다. 일단 일을 벌려놓으면 사람은 어떻게든지 이어나가게 된다. 하더것을 계속 하게 되는 사람의 관성을 최대한 이용하는것이다. 단, 부담되지 않고 쉽게. 그래서 30분이다. 시간관리를 하는 여러가지 기법을 찾아보고 책을 읽고 시도해보고 나만의 시간관리법이 정리가 되었다. 그래서 일단 나만의 시작해보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려 한다. 일단 무엇이 되었던간에 딱 30분동안만 하겠다고 마음먹자. 그리고 시작하자. 이때 실제로 타이머를 켜두는게 좋다. 타이머는 무엇을 사용하던지 괜찮다. 나의.. 2022. 2. 2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