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12 왜 개발자가 되었나? 개발자라는 직군으로 뛰어들어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꽤 많다. 스스로 원해서 뛰어들었는지 개발자를 하면 돈이 되기 때문에 뛰어들었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한가지는 알겠다. 스스로 원해서 뛰어들었다면 무언가를 스스로 만들고 싶다는 욕심이 분명히 있다는 것. 남이 요구하는것만 만들고 싶지는 않다는 것. 내가 개발자가 된 이유는 그냥 뭘 만드는게 좋아서다. 실제 물리적인 무언가를 만들려면 꽤 많은 비용과 공간적 지출이 필요하다. 수납장을 만들려면 꽤 많은 재료와 꽤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개발은 달랐다. 컴퓨터라는 것과 책상만 있으면 되었다. (처음 이 생각을 했던 당시는 1990년대이기 때문에 나에게 노트북은 환상의 동물과 같은 것이었고 그렇기 위해서 책상도 포함시켜야만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의.. 2022. 2. 21. 개발 관점에서의 기술자란? 기술적인 관점에서의 개발자란? 크게 기술적 기술과 기능적 기술로 나눠볼 수 있다. 기술적 기술이란 전체적인 개념을 디자인하고 개발하는 기술을 말한다. 기능적 기술은 반복적인 기술을 말한다. 그렇다면 기술인과 숙련공, 그리고 기능인과 작업자는 어떻게 다를까? 기술인(Technician) 전체적인 공정을 기술적, 이론적으로 완전히 이해하며 필요에 따라 기술적 판단도 내릴 수 있는 수준의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일반적인 개발 조직에서 리드나 팀장 정도 되겠다. 숙련공과 기능인(Skilled Worker, Craftsman) 이다. 기술을 이해하고 기술적인 것들을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선임 기술자라고 봐도 된다. 작업자보다는 상위에 존재하지만 실무자다. 작업자(Operator) 기능을 갖춘 사람.. 2022. 2. 21. 개발자란 코드로 글을 쓰는 작가다. 작가란 무엇인가? 작가란 스스로의 생각과 세계관을 글로 적어내어 독자들에게 생각과 영감을 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개발자란 어떠한가? 그들 또한 그렇다. 그들의 생각을 개발에 녹여 사용자들에게 편리성을 주는 사람이다. 내 생각을 바끙로 꺼내 표현한다는 점은 작가와 매우 흡사하다. 하지만 현실은 어떠한가? 대부분의 개발자는 목적 또는 아이디어가 잘 정리되어있고 꽤 디테일한 가이드가 나온 이후 그걸 대신 구현해주는 일을 하고 있다. 돈을 받고 기술적인 언어로 구현해주고 있다. 정확히는 기능적 기술을 부리는 것을 하고 있다. 이건 늘 반복적인 것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자신이 스토리를 쓰는 것이 아닌 남의 스토리를 대신 써주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작가와 동등한 영역에서의 개발자란 무엇일까? 내 생각.. 2022. 2. 21. 이전 1 2 다음 반응형